<Invisible and Visible>, 2021, 레진 캐스팅, 플렉시 글라스, 철 프레임, 혼합 매체, 200×200×300cm, 남북출입사무소 커미션

Invisible and Visible, 2021, Resin casting, plexiglass, steel frame and mixed media, 200×200×300cm, Commissioned by the Inter-Korean Transit Office


이성미 │Sungmi LEE

이성미는 한국 비무장 지대에 존재하는 긴장감과 군사 위협 그리고 자연스럽게 형성된 생태 지역의 이중성을 설치 조각 <Invisible and Visible>을 통해 사유한다. 역사적으로는 비극적인 공간이지만, 한때는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였던 이곳에서 평화와 생태의 공존을 발견한다. 가장 현실적인 곳이면서도 비현실적인 곳이며, 과거와 현재가 동시에 겹쳐지는 역설적인 공간이다. 비무장 지대에 대한 실질적인 경험이 없는 이들에게 이곳은 이국적이며 서울에서 아주 먼 공간으로 인식된다. 이성미의 신작은 이러한 남북한의 현실을 시각화한 작품이다.

     작품은 2개의 스테인리스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프레임에는 투명한 레진으로 캐스팅된 까칠까칠한 조각들과 염색한 플렉시글래스들이 매달리는데, 이것들은 철조망을 단순화한 형태이다. 자신이 서 있는 곳 너머를 보여줄 듯 보여주지 않는 레진 조각들 앞에서 관람객은 이산가족의 안타깝고 막막한 현실을 엿볼 수 있다. 철조망이 물리적, 심리적 차단을 의미하듯이, 관람자들은 레진 너머 구체화된 이미지를 볼 수 없다. 또한 레진 조각들은 이산가족의 눈물을 형상화한 것으로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폭포처럼 무엇인가 쏟아지는 힘을 발산한다. 작품의 색조는 평화의 색인 블루 톤 그리고 화합과 조화의 색인 화이트 톤의 그라데이션으로 표현되는데 이는 남북의 평화와 조화를 상징한다. 다만, 조각의 축은 좌우대칭을 이루는 형식으로 만들어져 지금까지 평행선을 달려온 우리의 상황을 암시한다. 이성미는 해외에서 활동할 때 사고로 버려진 폐자동차의 유리 등을 조각 재료로 이용해 비극적인 서사로 가득 찬 재료들에 새로운 생명과 활기를 넣는 설치 작품을 주로 제작하였다. 이번 전시에서도 레진은 가까이서 보면 거친 표면을 보여주지만, 멀리서 보면 빛처럼 반짝이는 이중성을 간직한다.


Through the installation Invisible and Visible, Sungmi Lee reflects on the tensions and military threat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and the dualism of natural ecology.  Although the DMZ is a historically tragic place, the coexistence of peace and ecology can be found here, where many people once lived their daily lives. It is simultaneously the most realistic and unrealistic place, while also being a paradoxical space where the past and the present coexist. For those without practical experience, the DMZ can be perceived as exotic and distant, and such reality is illustrated in this work composed of two stainless steel frames. Rough pieces of transparent resin and tinted plexiglass are hung on each of these frames as simplified forms of barbed wire. Standing in front of the alluring resin sculptures, which seem to open while blocking the view into the distance, the viewer is given a glimpse into the tragic and dreadful reality of families separated by war. Just as the barbed wire is a physical and psychological barrier, the resin does not allow the viewer to see beyond the materialized image.These pieces of resin also embody the tears of the separated families and exude the energy of a flowing waterfall. The work is in gradations of blue, signifying peace, and white, signifying harmony. Together they represent the peace and unity of Korea. The sculpture is symmetrical along the vertical axis, alluding to the parallel relationship of the two Koreas that continues to this day. Sungmi Lee is known for her installations, in which she breathes new life and vitality into materials with a tragic history, such as shattered glass pieces from a crashed car. In this exhibition, the surface of the resin retains its duality. Up close it looks rough, but from a distance, it also shines.



이성미(b. 1977)는 10대에 미국으로 건너가 2005년 메릴랜드미술대학원에서 조각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 볼티모어에서 개인전을 개최한 뒤, 뉴욕현대미술관 PS1/MOMA에서 열린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2009년 뉴욕 뉴뮤지엄의 큐레이터 마시밀리아노 지오니(Massimiliano Gioni)가 뽑은 “Younger than Jesus: Artist Directory”에 포함되었으며, 그 외에 다수의 중요 미술관 초대전, 갤러리 초대전, 그룹전 등에 참여하였다. 한국의 젊은 조각가를 대표하여 워싱턴 한국대사관, 뉴욕 한국문화원, 캐서린 스티븐 주미대사저, 성킴 주미대사의 아트 컬렉션에 전시하였으며, 2011년 귀국 후 가나아트센터 평창동, 가나아트 한남, 두산갤러리, 김종영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남서울미술관 등 다수의 개인전과 그룹전에 참여해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전시의 기사와 리뷰는 아트인아메리카, 뉴욕아트매거진, 스컬프처매거진, 뉴욕타임즈, 워싱턴포스트, 볼티모어썬, 프린스턴대학의 크리티컬메트릭스 학술지, 한국일보 등에 소개되었다.

 

Sungmi Lee(b. 1977) received an MFA in 2005 from Maryland Institute College of Art. Her work is included in private collections throughout the country. She is the recipient of the S.J. Wallace Truman Award for sculpture, National Academy Museum, NYC; Aljira, Emerge 9, A center for Contemporary Art; and Viewing Program, The Drawing Center, NYC. She was a resident at the Vermont Studio Center, VT and the MacDowell Colony, NH. Reviews of Lee’s work have appeared in publications such as Sculpture Magazine, The New York Times, The Korea Times, New York Arts Magazine, Washington Post, Baltimore Sun, Philadelphia Inquirer, P.S.1 Newspaper, The Younger Than Jesus Directory/New Museum, among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