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Kim San
photo by Kim San



<베를린 장벽 너머>, 2021, 베를린 장벽(부분), 코르텐스틸, 자연석 등, 1300×1000×350cm, 남북출입사무소 커미션

Over the Berlin Wall, 2021, Berlin Mauer, Corten Steel, Stones, etc. 1,300×1,000×350cm, Commissioned by the Inter-Korean Transit Office


임옥상미술연구소 (임옥상, 정혜민, 김수민, 표재윤)
Lim Oksang Art Institute (Oksang LIM, Hye Min JOUNG, Soo Min KIM, Jaeyoon PYO)

베를린 장벽은 분단의 아이콘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는 독일통일의 상징이 되었다. 베를린 시민들은 장벽을 무너트림으로써 장벽의 의미를 역전시켰다. 베를린 장벽은 우리 통일의 타산지석이다. 세계유일의 분단국가, 남˙북한의 DMZ철조망은 과연 이런 반전을 만들어 낼 수 있을까? DMZ의 철조망은 한반도 통일에 어떤 결과로 남을까. 평화적 통일의 방식이 아닌 어떤 통일도 정당화 될 수 없다. 체제나 이데올로기, 흡수통일 등 힘에 의한 통일은 보다 더 큰 갈등과 분열, 반목을 낳을 것이다.

     나는 DMZ내의 빈터에 주목했다. 전쟁의 포화로 완전히 초토화한 죽음의 땅이 일궈낸 생명력에서 민족통일의 단초를 발견한다. 인간 없는 세상이 보여준 자연의 세계에서 인간세의 희망을 읽는다.


The Berlin Wall used to symbolize the ideological split between East and West, but the fall of the Wall marked a critical step toward German reunification. The people of Berlin reversed its meaning by tearing down the Wall. Korea’s experience is like Berlin, and the Berlin Wall is a symbol of hope and unification for Koreans. Korea remains divided, and Oksang Lim continues to question how the barbed-wire fence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across South and North Korea could bring 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artist strongly believes in peaceful practice, because unification accomplished by force and ideology could lead to more significant conflict and division. The artist focuses on the empty site in the DMZ, where no human activities occur, but where nature flourishes in this dead land devastated by the war, signifying hope for a new start.



임옥상(b. 1950)은 충남 부여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회화과 및 동 대학원 졸업했고, 프랑스 앙굴렘미술학교를 졸업했다. 광주교대, 전주대 미술학과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민족미술협의회 대표를 역임했다. 현재 세계문자연구소 대표, 임옥상미술연구소 대표이다. 국내에서는 《아프리카 현대사》(가나아트갤러리, 서울, 1988)과, 《일어서는 땅》(가나아트갤러리, 서울, 1995), 《토탈아트: 물, 불, 철, 살, 흙》(가나아트센터, 서울, 2011), 《바람 일다》(가나아트센터, 서울, 2017) 등의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해외 개인전으로는 《In the spirit of Resistance》(Alternative Museum, New York, 1997), 《DMZ Lim Ok-Sang》(Orchard Gallery Derry, 2000), 《흙 Heurk》(SA+H Queen’s, Hong Kong, 2019) 등이 있다. 2000년 영암 구림마을의 <세월>을 시작으로, 2005년 분당 율동공원 책테마파크 <책, 세상의 배꼽>, 청계6가 <전태일 거리> 조성 및 <전태일 반신상> 제작, 2006년에는 서울숲 무장애놀이터 <상상, 거인의 나라>, 시흥시 신천동 예술문화놀이터 <나는 까치>, 2009년 마포 상암 하늘공원 전망대 <하늘을 담는 공원>, 2012년 광화문광장 도시농부 프로젝트 <이제는 농사다: 광화문 농사로, 지구를 담는 그릇>, 2014년 세월호 추모 시민 참여 프로젝트 <못다핀 꽃>, 2016년 남산공원 통감 관저터의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2019년 창신동 친환경 어린이 놀이터 <풀무골무>, 청계천 전태일기념관 <전태일 파사드> 등 서울 도심과 지방 각지에 공공 미술물을 설치하고 정치와 관련된 퍼포먼스를 펼쳤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도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 광주비엔날레, 가나문화재단 등에 소장되어 있다.

 

Ok-Sang Lim (b. 1950) was born in Chungcheongnam-do Buyeo and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BA in sculpture and an MA in painting. Then he continued his studies at École d'art d'Angoulême in France. He was a professor at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s well as Jeonju University. The artist was the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eople's Artists Association. Currently, Lim is the representative of the World Script Institute and OK Public Art Studio. The artist has held solo exhibitions in Korea including Modern History of Africa (Gana Art Gallery, Seoul, 1988), Thrusting Earth (Gana Art Gallery, Seoul, 1995), Total Art-Water, Fire, Wind, Flesh, Steel (Gana Art Center, Seoul, 2011), The Wind Rises (Gana Art Center, Seoul, 2017) and shared his work internationally at In the spirit of Resistance (Alternative Museum, New York, 1997), DMZ Lim Ok-Sang (Orchard Gallery Derry, 2000), Heurk (SA+H Queen’s, Hong Kong, 2019) and more. Beginning with Time, presented at Yeongam-gun, Korea in 2000, Lim has installed public artworks in Seoul along with other rural areas, and staged political performances which include The navel of the world'/ The Book Theme Park (Seongnam-si, Korea), he also promoted The street of Jeon Tae-il (the Cheonggye creek, Seoul) and built the Jeon Tae-il statue, also participated in Playground ‘Imagination, The world of giants held at Seoul Forest in 2006, Sky in a Bowl at Mapo Sangam Sky Park in 2009, Now, It’s a farming (Gwanghwamun Square, Seoul) a Seoul Farmers Market project held in 2012, Flowers fade before blooming (Cheonggye Square, Seoul, 2016) a citizen participation memorial project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Place of Memory’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msan, Seoul) in 2016, Playground on Ridge of a mountain (Changsin-dong, Jongno-gu) a construction of an eco-friendly children's playground, and Jeon Tae-il Passade (Jeon Tae-il Memorial Hall, Seoul). His paintings are in the collections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Seoul Museum of Art, Gyeonggido Museum of Art, Gwangju Museum of Art, Gyeongnam Art Museum, Gwangju Biennale, Gana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nd man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