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야(古夜)>, 2021, 2채널 비디오, 5.1채널 사운드, 40분 58초, 남북출입사무소 커미션

Old Night, 2021, 2-channel video, 5.1-channel sound, 40min 58sec, Commissioned by the Inter-Korean Transit Office


<장단주민 아카이브(윤석산, 이연희, 정재겸, 성태현)>, 2021, 유화 7점, 사진 3점, 시 3점, 동물 인형 52점

Jangdan Resident's Archive (YOON SUK-SAN, LEE YEON-HEE, JEONG JAE-GYUM, SEONG TAE-HYUN), 2021, 7 oil paintings, 3 photos, 3 poems , 52 animal-related souvenirs


<자생식물 벽지>, 2021, DMZ 내 살고 있는 자생식물 표본 7종, 드로잉 후 프린트, 8,925x3,227mm

Wallpaper of indigenous plants, 2021, Specimens of 7 indigenous plants of the DMZ, Printed drawing, 8,925x3,227mm


임흥순 │IM Heung-soon

<고야>는 ‘옛날 밤’이라는 뜻으로, 백석(白石, 1912-1996) 의 시 제목인 ‘고야(古夜)’에서 가져왔다. 임흥순의 신작 <고야>는 남과 북의 접경 지역인 파주시 장단면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이야기와 꿈을 바탕으로 한다. 주민 한 분은 일제 강점기 장단면에서 초등학교를, 개성에서 중학교를 다니다 한국 전쟁을 겪었다. 또 다른 한 분의 경우 1973년 통일촌 거주 희망자를 모집할 때 개성이 고향인 남편과 함께 이주해 현재까지 장단면에 거주하고 있다. 그 외 DMZ 생태 관련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인터뷰이의 구술과 기존 자료, 촬영 장면을 활용해 일제 강점기, 한국 전쟁 시기, 통일촌 시기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장단면에서 살아온 사람들과 분단의 역사를 재구성한다.

   〈고야〉는 접경 지대의 과거와 현실뿐 아니라 미래를 마주하게 하는데, DMZ의 중요한 자산 중 하나인 생태학적인 가치와 의미가 그것이다. 과거 분단이 가져다준 대립, 긴장, 공포의 삶은 현재 개발, 기후 변화, 환경 오염 등의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 DMZ는 남북의 미래뿐만 아니라 인간과 자연 그리고 앞으로 살아야 할 세대들을 위한 희망의 공간이다. 작가는 팬데믹 이후의 삶의 가능성을 접경 마을인 이곳 장단면에서 찾고 있다. 


Taking its name from the title of a poem by Baek Seok (1912-1996), Im Heung-Soon’s new work, Old Night  tells the stories and dreams of the villagers living in Jangdan-myeon, Paju, a border c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One villager attended elementary school in Jangdan-my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iddle school in Kaesong before the Korean War broke out. Another villager has been living in Jangdan-myeon with her husband since 1973, when the residents were recruited to live in the Unification Village. The work compiles extensive research and varied documentation, including video footage and interviews with experts, namely a DMZ ecologist, to look at and reconstruct individual stories and the collective history of Japanese Colonialism, the Korean War, and the Unification Village to the present day.

  Old Night  goes beyond illuminating the realities of the border area by highlighting the future possibilities of the Demilitarized Zone as a place of ecological value and significance. The national division has introduced tensions, anxieties, and terror into our lives in the past. We currently face problems caused by development,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The DMZ is a place of hope, not only for the two Koreas, but also for humanity, nature, and future generations. The artist seeks to find the meaning of post-pandemic life in Jangdan-myeon, a border village.




임흥순(b. 1969)은 서울에서 활동하는 미술 작가이자 영화감독이다. 그는 노동자 가족으로서의 어린시절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정치와 경제, 자본과 국가의 맥락에서 주변화된 사람들의 삶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를 사진, 설치 미술, 공공 미술, 커뮤니티아트, 영화 등의 다양한 시각 매체를 활용하며 작품 활동을 한다. 작가는 경원대 회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위로공단 Factory Complex>(2014)과 같은 그의 영화 작업들은 한국인 최초로 2015년 베니스비엔날레 은사자상 수상을 비롯해서, 부일영화상(2015),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2015),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2017) 등에서 수상했다. 전시로는 최근에 개인전인 《고스트 가이드》(더페이지갤러리, 서울, 2019), 《현대차시리즈: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7), 《환생 Reincarnation》(MoMA PS1, New York, 2015) 등이 있었고, 단체전으로는 《컬렉션_오픈 해킹 채굴》(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21), 《기억 궁전 Memory Palace》(High Line, New York, 2021)을 비롯해서, 피츠버그 카네기미술관(2018), 베를린 HKW(Haus der Kulturen der Welt, 2017), 파리 퐁피두센터(2016), 뉴욕 링컨센터(2016), 타이페이비엔날레(2016), 런던 테이트모던(2015), 아랍에미리트 샤르자비엔날레(2015), 도쿄 국립신미술관(2015) 등 전세계 주요 미술관에서 많은 전시가 이루어졌다. 또한 상하이국제영화제(2015), 몬트리올국제영화제(2015), 라이프치히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2015) 등을 통해 작품이 출품되었다.

 

IM Heung-soon (b. 1969) is an artist and filmmaker based in Seoul. Starting with his early works on his working-class family, he has expanded his art world by exploring the lives of people marginalized in social, political, capitalist, and national contexts. His political yet emotional works are embodied through different visual mediums, such as photography, installations, public art, community art, and films. He was awarded the Silver Lion with his work, Factory Complex, at the 56th Venice Biennale (2015), a first for a Korean. Since then, his works have been exhibited and showcased at the Tate Modern, London (2015), MoMA PS2, New York (2015), the Sharjah Biennale (2015), The National Art Center, Tokyo (2015), the Shanghai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5), the Montreal World Film Festival (2015), the DOK LEIPZIG -International Leipzig festival for Documentary and Animated Film (2015), the Pompidou Centre, Paris (2016), the Film Society of Lincoln Center, New York (2016), the Taipei Biennale (2016), HKW, Berlin (2017),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2018), and the Carnegie International, Pittsburgh (2018).